본문 바로가기

심리학52

게슈탈트 게슈탈트란 전체 또는 형태를 의미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게슈탈트 상담을 형태 상담이라고도 부른다. 게슈탈트 상담을 발전시킨 펄스는 게슈탈트란 부분이 전체로 통합되는 독특한 지각 형태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지각 능력은 인간 유기체가 가진 기본적인 기능이다. 게슈탈트 상담에서는 인간이 세계를 조직화하는 것은 개인적인 지각에 의해 주관적으로 현실을 파악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게슈탈트 접근에서는 현실을 절대적인 것으로 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상학적이다. 또한 지금과 여기에 바탕을 둔다는 점에서 실존적이다. 게슈탈트 상담이 지성보다는 경험적 자료를 더 많이 활용하게 된 것은 실존철학에 따른 것으로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기 위하여 신체의 움직임 목소리, 자세 및 호흡으로 나타나는 총체적 경.. 2022. 7. 27.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단계 에릭 에릭슨은 프로이트의 심리 성적 단계를 자신만의 심리 사회적 단계로 해석한 정신분석학자로, 에릭슨의 단계는 성인까지 이어진다. 그는 성적인 신체 일부를 강조한 프로이트의 이론을 감정적 작용과 대인 관계 작용을 나타내는 은유로 삼았다.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8단계는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수치심 및 의심,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정체감 발달 대 정체감 혼돈, 친밀감 대 고립감, 생산성 대 자기 침체, 자기 통합 대 절망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네 단계는 어린 시절 일어나고 마지막 세 단계는 성인이 되었을 때 나타난다. 어린 시절 발달 단계를 나타내는 첫 네 단계는 프로이트의 심리 성적 단계와 유사하다. 신뢰감 대 불신감 단계는 프로이트의 구강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후 1년 반 동.. 2022. 7. 21.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장 피아제는 아이들의 지능 발달에 관해 매우 영향력 있는 업적을 남긴 스위스 심리학자다. 아이들의 인성 발달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개발한 프로이트, 에릭슨과 달리 피아제는 한 분야에 치중해 아이의 지능 발달에만 관심을 가졌다. 피아제는 아이들이 환경을 어떤 식으로 배우고 이해하는지 알고 싶어 했다. 아이들이 가진 지식은 내용 면에서 어른과 다를 뿐 아니라 구조 또한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피아제의 뛰어난 통찰력 덕분이다. 아이들은 어른만큼 많이 알지 못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식으로 알고 있다. 피아제는 지능 발달이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비록 문화나 환경이 인지 발달에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피아제가 인식하지는 못했지만.. 2022. 7. 19.
Rogers의 인간 중심 이론 인간 중심이론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긍정적인 인간관에 근거하고 있다. Rogers는 1951년에 출간한 내담자 중심 치료에서 인간의 성격과 행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인간은 하나의 통합된 유기체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기체는 육체와 정신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로서의 개별적 생명체를 의미한다. 어린 유아는 유기체적 감각을 통해서 세상을 인식하며 통합된 전체로서 이에 반응한다. Rogers에 의하면, 인간 유기체는 신체적 기능과 감각, 감정, 동기, 사고 등의 심리적 기능이 통합적으로 조직된 체계로서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매 순간 유기체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체적 경험은 개인이 경험하는 모든 것으로서 현상적 장, 즉 심리적 현실을 구성한다. Rogers는 인간에게 단 하나의 기본적 동기, 즉.. 2022.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