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52

내담자 상담은 조력해야 하는 내담자를 돕는 전문적 활동이다. 내담자는 상담의 주체로서 또 다른 주체인 상담자와 함께 상담 활동을 통해 자신의 문제 해결인 상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사람이 조력을 필요로 하는 '잠재적 내담자'라는 관점에서 내담자가 상담에 가져오는 문제는 우리 각자의 문제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가 기본적으로 인간의 문제라는 입장에서 내담자를 보고 이해해야 한다. Carl Rogers는 "주관적 인간은 기본적으로 어떤 중요성과 가치를 가진다. 그가 어떻게 평가되고 명명되건 그는 인간이다."라고 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로저스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가 인간 대 인간의 관계임을 강조하였다. 내담자의 체계 인간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최근에 많은 건강 심리학자들은 총체적 건강.. 2022. 8. 22.
상담자의 관점 상담자의 관점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인간관이며 철학적 관점이다. 상담자는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관을 형성하며 자신의 인간관에 따라 어떻게 내담자를 조력할 것인가에 대한 변화모델을 개발한다. 이러한 변화모델이 상담 접근 방식이며 보다 체계적으로 확립된 접근방식은 상담이론이 된다. 상담자가 어떤 상담이론의 입장을 취하는가에 따라 변화를 위한 상담 활동은 달라진다. 상담자의 관점은 내담자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모든 상담자가 내담자를 만날 때마다 공통으로 흔히 묻는 말은 두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내담자의 문제가 무엇인가?, 내담자를 어떻게 조력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질문은 많은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하지만 첫째 질문의 핵심은 가능한 모든 자료를 바탕으로 심리평가를 하.. 2022. 8. 21.
상담 심리학 상담을 정의하고 설명하는 데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상담을 수행하는 상담자의 역할이라고 본다. 물론 내담자가 상담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에 대한 것도 고려되어야 하지만 먼저 상담자의 입장에서 상담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교육이란 무엇인가? 란 질문에 관해 설명을 하는 데 있어 피교육자인 학생보다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자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상담자가 일반적으로 믿고 실천하는 과정에 대한 내용과 필자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위에서 내린 상담의 정의를 일곱 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 상담 활동의 공동주체는 상담자와 내담자다. 상담은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문적 기술을 적용하는 활동이 아니라 함께 노력하는 과정이다. 상.. 2022. 8. 20.
인정에 대한 동기 : 사회적 수용의 힘 타인은 우리에게 기아, 약탈, 고독, 그리고 혼자이기 때문에 생기는 다른 모든 나쁜 것들을 막아 주는 존재이다. 우리는 안전, 생계, 단결 등을 타인에게 의존하는데, 이 모든 것들은 타인이 없을 때 확연하게 모습이 드러난다. 사회적 배척은 우리의 자존심을 박살 낼 뿐만 아니라 우리의 건강도 위협한다. 사실상 고립되고 고독하게 되는 것은 사람이 다양한 종류의 신체적 질병에 취약해지게 만든다. 타인의 호감, 수용, 그리고 인정받고 싶은 것은 인간의 강력한 동기인데, 다른 동기와 마찬가지로 이것 또한 우리가 사회 영향 앞에서 약해지게 만든다. 이러한 영향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규범적 영향 아마도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앞쪽을 바라보고 서 있어야 하고, 엘리베이터 안에 단 두 사람만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 2022.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