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52

인지 주의 이론 - Kelly의 개인적 구성 개념 이론 정신분석과 행동주의가 심리학계의 양대 산맥으로 군림하던 1950년대에 인지주의라는 새로운 심리학의 싹이 돋아났다. 인지주의는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인간의 사고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핵심적이라는 입장을 뜻한다.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마음속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적 요인을 밝히는 것이 심리학의 중요한 과제이며 인간 행동의 이해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면서 무의식과 동기적 요소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의 남발로 인해서 과학적 검증이 어려웠다. 이에 반발하며 과학적 연구를 강조하는 행동주의 이론은 신념이나 사고와 같은 인지적 요인을 배제함으로써 인간의 다양한 행동을 설명하는 데 심각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1950년에는 인간의 .. 2022. 7. 7.
고정관념화 범주화는 사람이 어떤 자극을 관련 있는 자극들로 이루어진 집단의 한 구성원으로서 식별하게 되는 과정이다. 우리가 어떤 새로운 자극을 어떤 범주의 한 구성원으로서 식별하였다면, 우리는 그 범주에 관한 지식을 사용하여 그 새로운 자극의 속성에 대하여 근거 있는 추정을 하고, 그에 상응하게 행동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고정관념화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 대해 그들이 속해 있는 범주에 관한 지식에 기초하여 추론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고정관념화는 매우 유용한 과정이다. 그러나 이 용어가 1936년에 만들어진 이후 이 용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고정관념 화가 유용한 과정이기는 하지만 많은 경우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며, 또한 그것은 부정확하고, 남용되며, 무.. 2022. 7. 7.
집단 사람은 협동을 통하여 이득을 얻는데, 결국 협동은 상대방으로부터 혜택을 받은 적이 없는 누군가가 먼저 남에게 은혜를 베푸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언젠가는 수혜자가 그 은혜를 되갚을 것이라고 믿어야 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최초의 협동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기막히게 창조적인 방법을 발전시켜 왔는데, 그것이 바로 무언가 서로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의 집합체인 집단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그러한 많은 집단의 한 구성원이다. 그중 규모가 작은 것으로는 가족, 팀 등이 있고, 규모가 큰 것으로는 종교와 국가 등이 있다. 이러한 집단들은 그 성격이 서로 무척이나 다르지만, 모든 집단이 공통으로 가진 것으로 보이는 한 가지 요소는 이러한 집단에 속해 있는 사람들.. 2022. 7. 6.
개념과 범주화 개념은 사물이나 사건 또는 그 밖의 자극들이 가진 공통된 속성을 묶거나 범주화하는 심적 표상을 말한다. 개념은 사물의 유목이나 범주를 구분 짓는 추상적 표상이나 기술, 저의로 간주할 수 있다. 개념은 우리가 사고하는 능력과 세상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된다. 인지의 다른 측면과 마찬가지로, 개념에 문제가 있는 몇 가지 사례를 살펴봄으로 인해 개념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20여 년 전, 두 명의 신경심리학자는 개념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손상으로 인한 마인드 버그를 보고하였다. 그들의 환자는 다양한 무생물체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 물체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인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생물체와 음식에 대한 지식은 지극히 정상적이었다. 다.. 2022.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