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52 섭식장애 섭식장애는 섭식에 있어서 심각한 혼란을 가지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전형적이다. 섭식장애로 진단받은 사람들의 90% 이상이 여성이지만, 이 장애로부터 고생하는 남성들이 점차로 늘고 있다. 섭식장애에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이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체중 증가에 대한 강한 두려움과 함께 낮은 체중조차 유지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명적일 수 있는 섭식장애이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 가운데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의학적 결과와 관계없이 날씬해지고자 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사람이 있다. 이 장애로 입원한 사람들 가운데서 10%는 이 장애에 관련된 이유로 인하여 죽는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을 위해 요구되는 증상에는 개인이 자기 몸을 보는 방식, 체중 증가 또는 뚱뚱해지.. 2022. 6. 14. 강박 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장애의 특징은 강박적 사고만 있거나 그와 함께 강박적 행동이 있는 것이다. 강박 사고는 침입적이고 부적절한 사고, 충동 또는 심상을 반복적, 지속해서 느끼고 그것을 억제하거나 무시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다. 강박 사고는 실제 문제에 대해 과도한 걱정을 하는 것 이상이지만 심각한 불안과 고통을 수반할 수가 있다. 강박사고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오염사고, 의심의 반복, 사물을 어떤 식으로 질서 있게 하고자 하는 욕구, 공격 충동 또는 공포를 주는 충동이 있다. 연구에 의하면 강박적 사고는 흔한 것이지만,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강박 사고는 좀 다른 것이다. 즉,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침입적이고 부적절한 것으로 느껴지는 강박 사고를 가진다. 강박행동은 통상적으로 강박 사고에 따라 수행해야 할 것으로 느.. 2022. 6. 10. 공포증 공포증은 특정한 대상, 활동 또는 상황에 대한 과장 되거나 불합리한 두려움으로서, 이러한 두려움은 두려움을 주는 자극을 회피하기 위하여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한다. 그리하여 일상생활에도 불편을 가져온다. 불안을 촉발하는 사물, 활동 또는 상황을 회피함으로써 그 자극이 유발할 수 있는 공포, 불안 또는 공황을 회피하게 된다. DSM-IV-TR에서는 공포증을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자극에 기초해서 두 가지 장애로 분류하는데 하나는 사회 공포증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대상 공포증이다. 사회 공포증은 대인 장면에서 당황하거나 모욕을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서 개인이 그런 공포를 가져올 수 있는 대인관계 상황을 회피하게 한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중 앞에서 먹기, 말하기, 공연하기 또는 공중화장실이나 옷 갈.. 2022. 6. 10. 불안 장애 - 공황 장애 불안은 통상적으로 미래의 위협 가능성에 대한 공포감 또는 예감이다. 불안은 종종 기대 및 신체 각성을 포함한다. 사람들은 다가오는 시험에 대해서 새로운 사람과의 데이트에 대해서 또는 직장 면접에 대해서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기대하면서 마음 졸이고 왔다 갔다 하거나 책상을 손가락으로 두드린다. 불안은 반드시 항상 나쁜 것만은 아니다. 때로 불안은 적절하고 중요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동기화시킴으로써 도움이 될 수가 있다. 시험 준비, 의복과 치장을 손보기, 직장 면접 준비 등에서 그런 동기부여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너무 많은 불안과 각성은 정서적으로 압도된 느낌이 들게 하고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없게 한다. 어떤 사람들은 특정의 자극을 만나는 것에 대하여 아주 불안해하고 각성이 되는 경우.. 2022. 6. 1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