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by 써니나래 2022. 7. 14.

프로이트는 신체 부위에 초점을 맞춘 심리성적 발달이론을 제시하였다. 프로이트는 유아 성욕을 주장하면서 어린아이가 쾌락을 추구하는 신체 부위가 나이에 따라 변천하며 이러한 욕구 충족 경험이 성격 형성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즉, 어머니를 비롯한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유아는 입, 항문, 성기를 통해 쾌락을 추구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이가 겪게 되는 욕구의 만족과 좌절 경험이 성격 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특정한 심리성적 발달단계에서 욕구가 과도하게 좌절되거나 과도하게 충족되면, 성적 에너지가 그 단계에 고착되어 성인이 된 후에도 그 단계의 만족을 추구하는 성격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개인은 어떤 발달단계에도 고착될 수 있으며 고착의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강기는 출생 직후부터 1년 반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유아는 입으로 어머니의 젖을 빨거나 먹는 것에 관심을 집중하며 입술과 혀, 목구멍을 통해서 쾌감을 얻게 된다. 유아는 입을 통해 어머니의 젖을 빨면서 외부 대상과 처음으로 관계 경험을 하게 된다. 입을 통해 어머니와 상호작용하며 만족감과 좌절감을 경험하고 외부 존재에 대한 기초적 인식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험들이 성격 형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구강기의 욕구가 과도하게 충족되면, 다른 사람을 잘 믿고 의존적이며 요구가 많은 구강기 수용 성격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구강기 욕구의 과도한 좌절은 입으로 씹고 깨물고 내뱉는 행동을 유발하여 구강기 공격 성격을 형성하며 냉소적이고 탐욕스러우며 논쟁적인 태도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이처럼 구강기에 고착된 성격의 소유자는 엄지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뜯기, 펜이나 연필 물기, 음주 및 흡연, 수다 떨기와 같이 구강 만족과 관련된 습관적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적절하게 욕구가 충족되면 자신감 있고 관대하며 외부 세계에 대해 신뢰감을 지니는 안정된 성격을 형성하게 된다.  

 

항문기는 생후 1년 반에서 3년까지의 시기로서 쾌락을 추구하는 신체 부위가 입에서 항문으로 옮겨진다. 이 시기에 아동은 배변을 참거나 배설하면서 긴장감과 배설의 쾌감을 경험한다. 이 시기는 부모가 아동에게 배변 훈련을 하는 시기로서 아동은 부모의 통제를 받게 되는 과정에서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배변 훈련 과정에서 아동은 불안과 수치심을 경험하게 되며 자율성과 자기 통제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항문기에 욕구가 지나치게 좌절되면 완벽주의적이고 청결과 질서에 집착하며 인색한 항문기 보유 성격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항문기에 욕구가 적절한 좌절 경험 없이 과도하게 충족되면, 감정적이고 분노를 잘 느끼며 무질서한 항문기 배출 성격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욕구 만족 경험을 하게 되면 독립적이고 자기주장 적이며 협동적인 성격을 형성하게 된다.  

 

남근기는 만 3세에서 6세 사이의 시기로서 쾌락을 추구하는 신체 부위가 항문에서 성기로 바뀌게 된다. 남자 아동의 경우는 자기 남근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지만, 여자 아동은 남근에 해당하는 음핵을 통해 쾌감을 느끼려는 성향이 나타난다. 이 시기는 아동 성기기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아동은 성기에 대한 호기심과 노출 행동을 나타내고 소변을 보면서 쾌감을 얻는다. 프로이트는 남근기가 성격 발달에 있어서 각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다. 성기에 대한 아동의 관심이 이성 부모에게로 확산하면서, 아동은 이성 부모에게 유혹적인 행동을 보이며 애정을 독점하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동성 부모를 경쟁자로 인식하게 된다. 이 시기의 아동은 부모와의 삼각관계 속에서 복잡한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며 상상 활동이 활발해진다. 남자 아동은 어머니를 독점하려 하지만 경쟁자인 강력한 아버지에 의해 남근이 잘릴지도 모른다는 상상 속에서 거세 불안을 경험한다. 어머니의 애정을 독점하려는 남자 아동은 아버지에 대한 경쟁심, 적대감, 두려움, 존경심, 애정 등의 복잡한 감정 속에서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프로이트는 남자 아동이 어머니의 사랑을 얻기 위해 아버지와 경쟁하는 삼각관계에서 경험하는 복잡한 심리적인 갈등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명명했다. 남근기에 나타내는 남자 아동의 유혹적인 행동에 대해서 부모가 유연하게 대응하면, 아동이 세대의 구분을 이해하게 되면서 어머니에 대한 유혹적 행동이 줄어들고 아버지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서 남자의 성역할을 학습하게 된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원만한 해결은 건강한 성 정체감의 형성, 초자아와 자아의 발달, 삼각관계의 수용과 더불어 건강한 이성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의 발달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러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잘 해결되지 못하면 이후의 적응과 성격 형성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권위적 인물에 과도한 두려움과 복종적 태도를 나타내거나 지나치게 경쟁적인 성격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여자 아동의 경우에는 아버지의 애정을 독점하려 하면서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게 되는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라고 불린다.  

 

잠복기는 만 6세부터 사춘기 이전까지의 시기로 학업과 친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성적인 욕망의 표출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성적인 욕구가 잠복하는 대신에 아동은 학교생활, 친구 교제, 운동, 취미활동에 관심을 쏟게 된다. 이 시기는 자아가 성숙하고 초자아가 확립되는 시기로서 현실적 성취와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적응 능력이 발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에 좌절을 경험하게 되면 열등감이 형성되고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성격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성기기는 사춘기 또는 청소년기 이후의 시기로서 육체적인 성숙과 더불어 성적인 측면에서 성인으로 발달하는 시기다. 이 시기의 성 에너지는 이성에게 집중된다. 성 욕구가 현저하게 증가하며 이성과의 연인관계를 통해서 성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성기기는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더불어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기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과중한 발달과제를 안고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프로이트는 성기기를 통해서 성격 형성이 완결된다고 보았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gers의 인간 중심 이론  (0) 2022.07.18
발달 - 청소년기  (0) 2022.07.15
발달 - 영아기와 아동기  (0) 2022.07.13
발달 - 태내기  (0) 2022.07.12
Maslow의 인본주의 이론  (0) 2022.07.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