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5 심리치료 정신장애에 대한 치료는 연구자들이 특정 장애에 특별히 효과가 좋은 치료나 기법들을 밝혀낼 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혁신이나 건강보험의 방침 변화에 의해서도 점점 바뀌기 마련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치료자는 단일한 이론이나 기법들을 사용하기보다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과 기법들을 활용하는 절충적 접근을 취한다. 절충적 치료자는 정신 역동적 이론, 체계 치료, CBT 등을 토대로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고 내담자의 문제나 치료 목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론에 기반한 기법들을 사용한다. 신경성 폭식증이 있는 십 대를 치료하는 절충적 치료자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노출과 반응 방지를 사용하고 이에 더해 내담자의 장애에 영향을 주는 가족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체계 치료 기법들을 사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진단이 동일한 두 .. 2022. 7. 4. 장애별 치료 모든 장애에 항상 더 효과적인 하나의 치료란 조재하지 않는다. 장애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여러 치료와 기법들이 있다. 노출 그리고 노출과 반응 방지 행동 기법들은 공포나 특정 자극 회피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불안장애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법들은 공황과 회피 증상을 감소시킨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불안 증상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장기적 효과는 약물과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의 치료 경우, 인지행동치료와 약물이 똑같이 효과가 있었지만 방지하는 데에는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더 좋았는데 이는 치료 후에도 치료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인지행동치료와 대인관계 치료가 우울 증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특정 치료에 쓰이는 세부 기법들(인지적 재구조화 또는 의사.. 2022. 6. 29. 정신 역동적 치료 프로이트가 개발한 정신분석은 프로이트의 성격 이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는 치료 형태이다. 이 치료는 심리적 어려움의 원인은 무의식적 갈등이라는 생각을 기초로 한다. 현재 정신분석은 흔히 쓰이는 치료는 아니다. 그 대신 정신 역동적 치료라고 불리는 정신분석보다 강도가 낮은 치료가 더 흔하다. 정신 역동적 치료는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발달하여 정신분석과 몇몇 치료 기법을 공유한다.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심리적 어려움은 성격의 세 가지 구조인 원초아, 초자아, 자아 사이의 갈등에 의해 생긴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원초아는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성격 구조이며 성적 추동과 공격적 추동, 육체적 욕구, 그리고 간단한 심리적 욕구로 이루어져 있다. 초자아는 아동 초기에 형성되는 성격 구조인데 부모와 문화의 도덕률을 .. 2022. 6. 27. 섭식장애 섭식장애는 섭식에 있어서 심각한 혼란을 가지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전형적이다. 섭식장애로 진단받은 사람들의 90% 이상이 여성이지만, 이 장애로부터 고생하는 남성들이 점차로 늘고 있다. 섭식장애에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이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체중 증가에 대한 강한 두려움과 함께 낮은 체중조차 유지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명적일 수 있는 섭식장애이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 가운데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의학적 결과와 관계없이 날씬해지고자 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사람이 있다. 이 장애로 입원한 사람들 가운데서 10%는 이 장애에 관련된 이유로 인하여 죽는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을 위해 요구되는 증상에는 개인이 자기 몸을 보는 방식, 체중 증가 또는 뚱뚱해지.. 2022. 6. 1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